정년연장 65세 언제부터? 66·67·68·69년생 시행시기와 법안 진행

정년연장 이야기가 나오면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내가 몇 살까지 일할 수 있나 일 겁니다. 65세로의 상향 여부는 특히 66년생, 67년생, 68년생, 69년생에게 직접적인 문제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지금은 법적으로 정년이 만 60세지만, 국민연금은 2033년 만 65세부터 지급되기 때문에 퇴직 이후 5년 동안 소득이 끊기는 공백 구간이 생기는 구조입니다. 바로 이 지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회에서 정년연장 법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출생년도별 적용 시기와 구체적인 시행 일정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년연장 66년생 적용 시기

1966년생은 현재 기준으로 법정 정년 60세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하지만 정년연장 논의가 현실화되면 전환기 세대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기존 제도와 새 제도의 경계에 걸쳐 있어 일부는 정년연장 혜택을 누리고 일부는 그대로 퇴직하는 혼재 구간이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예상 정년: 60세 중심
  • 시행 시기: 2026~2028년 전환기
  • 특징: 법안 통과 여부에 따라 변동 가능성 높음

정년연장 67년생 시행시기

1967년생은 본격적인 정년 연장 적용 시작 세대입니다. 정부와 국회 논의안에서 2029년을 1차 시행 연도로 검토하고 있으며, 이때부터 정년이 기존 60세에서 순차적으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 예상 정년: 63~65세
  • 시행 시기: 2029년
  • 특징: 1차 적용 시작 세대

정년연장 68년생 적용 나이

1968년생은 제도가 안착되는 시기에 해당합니다. 이 세대부터는 정년이 64세 이상으로 확정될 가능성이 크며, 65세 정년을 사실상 보장받는 첫 그룹으로 평가.

  • 예상 정년: 64~65세
  • 시행 시기: 2030년
  • 특징: 전면 적용에 가까운 세대

정년연장 69년생 시행 일정

1969년생 이후 세대는 정년 65세가 기본값으로 자리 잡습니다. 국민연금 개시 시점(만 65세)과 퇴직 나이가 맞물리기 때문에, 퇴직 후 소득 공백이 사라지는 첫 확실한 세대라 할 수 있습니다.

  • 예상 정년: 65세
  • 시행 시기: 2032~2033년
  • 특징: 정년연장 완전 적용 세대

※ 출생년도별 정년연장 적용 정리표

출생년도적용 정년(예상)시행 시기비고
1966년생만 60세 (현행)2026~2028전환기 세대
1967년생만 63~65세20291차 적용 시작
1968년생만 64~65세2030전면 적용 근접
1969년생만 65세2032~2033완전 적용 세대

정년연장 법안 진행 현황

정년 연장 법안은 현재 국회 계류 중입니다. 민주당이 2029년부터 단계적으로 상향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정부도 국민연금 개편과 연계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노동계는 청년 일자리 감소를, 경영계는 인건비 부담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어 최종 확정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

공무원 정년 연장

공무원은 현재 만 60세 정년입니다. 교원, 군인 등은 별도 규정이 존재하며, 일반 기업과 동시에 정년연장이 적용될지는 아직 불확실.

정년 연장 전망과 영향

  • 66·67년생: 과도기 세대, 적용 불확실
  • 68·69년생: 정년 65세 적용 가능성 높음
  • 장점: 고령층 고용 안정, 소득 크레바스 해소
  • 단점: 청년층 취업 기회 축소, 기업 인건비 부담

마지막으로 짚어볼 핵심 포인트

정년연장은 67년생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고, 68·69년생은 사실상 65세 정년을 보장받는 구간에 들어갑니다. 다만 법안은 아직 국회 논의 단계이므로, 최종 확정까지는 추이를 지켜봐야 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